일기장


Youngrok Pak at 11 years, 1 month ago.

제목 쓰기 귀찮은 글들.


일기장/2006-06-14

 

토고를 이겼다. 거의 예상대로의 경기 내용과 결과다. 다행스럽다는 생각이 제일 먼저 든다. 토고한테 졌으면 얼마나 쪽팔렸을까. 감독 사퇴나 훈련 거부 같은 거 때문이 아니라 토고가 워낙 약하다. 그런 면에서 한 명 퇴장한 토고에게 2:1은 아쉽다. 실상 토고 정도는 압도할 수 있어야 프랑스, 스위스랑 맞설 수 있을 텐데. 선수들의 개인 기량은 2002년보다 꽤 좋아졌지만 팀 전력은 그 때보다 많이 약하다. 이는 아드보카트의 책임이다. 보수적인 선수 기용, 미드필드를 무시하는 전략, 초점 없는 훈련. 감독으로서의 기술적 역량은 분명 최고 수준과 거리가 있다. 하지만 아드보카트를 쉽게 비난할 수 없는 것은 독이 든 만두를 용감하게 집어 삼켜서 여기까지 끌고 왔기 때문이다.

전술상 문제가 가장 심각한 것은 공격이다. 언론에선 골 먹을 때마다 수비를 탓하지만 사실 골 안 먹는 팀은 없다. 공격이 문제인 것은 뻥축구로 회귀했기 때문이다. 미드필드에서의 공격적인 전진 패스는 사라지고 후방에서 뻥 차서 공격수에게 맡기는 식의 공격이 주류를 이룬다. 이 방식 자체가 프랑스식 미드필드 축구보다 나쁘다고 단정적으로 말할 수는 없다. 하지만 우리나라는 이런 킥앤러시를 소화할 만한 상태가 아니다. 이게 가능하려면 체력 뿐 아니라 체격이 필요하다. 그리고 경기를 빠른 템포로 가져가야 한다. 잉글랜드가 킥앤러시로도 강한 것은 빠른 경기 템포를 이끌고 체격 조건이 유럽에서도 최강급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우리 대표팀은 수비 공간에서 질질 끌다가 공격수에게 떠넘기는 듯한 뻥축구를 구사한다. 잘 될 리가 만무하다.

이건 사실 전술의 문제이기도 하지만 자세의 문제이기도 하다. 아직 선수들은 실수를 두려워 한다. 근데 두려워하는 실수는 팀의 실수가 아니라 자신의 실수다. 공격적인 전진 패스가 실패하면 패스한 사람의 책임이 조금 더 크게 느껴지지만 뻥 차서 공격수가 경합하게 만들면 절반은 공격수 책임이 되는 것처럼 느낀다. 그래서 대충 차 놓고 알아서 해주길 비는 심리가 있는 것이다. 이런 부분은 감독이 해결해줘야 한다. 근데 보수적인 스타일에 실수에 관대하지 않은 아드보카트는 이런 문제를 해결해주지 못한다. 그래서 이런 심리가 마지막 프리킥 찬스에서 슛도 안 때리고 시간 끄는 장면으로 나타나는 것이다.

그래도 후반에는 미드필드에서 경기를 풀어가면서 좋은 모습을 많이 보여주었다. 이영표와 박지성, 안정환의 존재는 빅 리거가 팀에 어떤 존재인지를 느끼게 해주는 부분이다. 하지만 난 man of the match는 이천수였다고 본다. 전반부터 줄곧 좋은 움직임과 부지런함을 보여주었고 동점골까지 터트렸다. 이번 월드컵 끝나고 다시 메이저로 진출하는데 성공했으면 좋겠다.

근데 상황이 98년과 아주 비슷하다는 생각이 든다. 기대를 품고 진출한 월드컵에 첫 골을 터트렸지만 한 선수의 퇴장으로 역전패한 한국. 그리고 그 승리를 기반으로 다른 두 강팀과 무승부를 이루며 16강에 진출한 멕시코. 이후 네덜란드에 대패한 후 벨기에전에서 투혼을 발휘해 무승부를 기록한 한국. 이번에 우리가 그 때의 멕시코처럼, 토고가 그 때의 한국처럼 될 가능성이 높다. 3:1로 이기기만 했어도 딱 맞아떨어질 수도 있었을 텐데.

머, 어쨋든 원정 첫 승을 올렸고 조별 리그에서 가장 먼저 승점을 쌓았다는 의미는 큰 것 같다. 원정임에도 홈처럼 구장을 가득 메운 붉은 악마, 존경한다. 한국, 경제가 어렵니 어쩌니 해도 토고보다 20배는 부자인 것 같다.


 

블로그 / 스포츠

Youngrok Pak , 11 years, 1 month ago

일기장/2006-06-09

But when you are trying to show that a new way of doing things is better, whoever has data wins over whoever doesn't. -- Nancy Van Schooenderwoert, From XPMailingList


이제야 TDD의 Test가 Test가 아니라는 말을 어느 정도 이해할 것 같다. TestCoverage가 중요하지 않다고 하는 이유도 알 것 같다. TestFirstProgramming에서 TestDrivenDevelopment로 바꾼 이유도 비슷하지 않을까. Test는 좋은 디자인을 이끌어내기 위한 것이다. Test를 먼저 만들면서 겪게 되는 사고 과정, 그것을 그냥도 할 수 있다면 굳이 TestFirst에 집착할 필요도 없을 것이다. 물론 TestFirst가 주는 장점은 또 별개의 문제겠지만. 어쨋든 이제야 TDD가 쉬운 것만은 아니라는 것을 알게 된 것 같다.

Youngrok Pak , 13 years ago

일기장/2006-06-07

[HelpOnMacros/Include]로 블로그 모드를 써보기로 했다. 나름 괜찮은 방법인 듯.


우연히 [http://stripes.mc4j.org/confluence/display/stripes/Home Stripes]라는 프레임웍을 살펴 보게 되었다. 다른 거 구글링하다가 찾게 된 이 프레임웍, 지금 껏 본 것 중에 제일 좋다. 일반적인 웹의 MVC 모델로는 최선에 아주 가까운 것 같다. Struts보다 더 많은 기능을 제공하면서 훨씬 가볍고 편리하다. WebWork+SiteMesh 보면서 Struts+Tiles보다는 낫다고 생각했지만 아직 멀었다고 느꼈는데 Stripes는 이 모델의 한계 내에서는 거의 모든 중복을 제거했다.

Hibernate도 써보고 있는데 여전히 XMLHell이 스트레스다. 하지만 사실 이건 Struts와는 달리 메타 데이터가 필수적이기 때문에 Annotation이든 XML이든 필요한 것임은 틀림 없다. Annotation을 조금 더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Stripes랑 잘 조합하면 Java로도 15분 블로그는 물론이고 5분 블로그도 충분히 가능할 것 같다.


EnergizedWork는 잘 안되고 있다. 그래서 ApprehensiveInquiry에서 했던 것처럼 예전에 EnergizedWork를 했던 때를 떠올려보고 있다. 그 때 그렇게 열정적으로 일을 할 수 있었던 이유가 무엇일까? 크게 보면 커뮤니케이션과 목표 두 가지를 꼽을 수 있을 것 같다.

우선 커뮤니케이션. 예전 팀의 트리오의 생산성이 좋았고 일이 재미있었던 것은 짧게 자주 커뮤니케이션을 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딱히 페어프로그래밍을 하지 않더라도 의자만 핑그르르 돌려서 어깨 툭 치면 바로 커뮤니케이션이 시작되었고 결론이 나면 바로 구현에 들어갈 수 있었다. 이에 비하면 지금은 공간적인 제약이 생각보다 크다. 일단 양 옆으로는 나랑 직접적으로 일을 하지 않는 사람들이고 그나마 비슷한 이야기를 할만한 분은 대각선에 있다. 그리고 그 사이 공간도 엄청 넓다. 의사소통 한 번 하려면 일단 일어나서 걸어 가야 한다. 의사소통 비용은 거리의 제곱에 비례한다는 말이 실감이 좀 된다. 그러니 커뮤니케이션 한 번 하려면 뭔가 모인다는 활동이 필요하고 그러다보니 한 번 모이면 짧게 끝나지 않는다. 좀더 자주, 짧게 커뮤니케이션을 유도할 수 있는 물리적 공간이 필요한 것 같다. 하지만 당장은 어떻게 해결할 방법이 떠오르지 않는다. 여전히 팀 셋업 중이기도 하고 나 자신도 정해진 공간의 틀에 사고가 갇혀버린 듯 별다른 좋은 생각이 떠오르지 않는다. 일단은 별로 잘 활용되지도 않는 공간을 확 줄여서 거리를 좁히는 것이 어느 정도 도움이 될 것 같긴 하지만 인접한 팀들도 있고 쉽지 않다. 곧 이사갈 것이라는 점도 현재의 변화에 대한 저항으로 작용하는 것 같다. 어떻게 해결할 수 있을까.

두번째는 목표다. 예전 팀에서는 팀의 목표와 내 목표가 부합한다는 확신이 있었다. 그래서 내가 설정한 목표에 매진을 할 수 있었다. 하지만 지금은 팀의 목표에 대한 각자 생각이 다른 상황이기 때문에 나의 활동이 우리 조직에 이익이 되는 활동인지에 대한 확신이 들지 않는다. 이것도 차차 해결해 가야할 문제겠지만 어떻게 보면 팀의 목표가 먼저 서고 그에 맞게 팀 셋업이 이루어져야 하지 않나 하는 생각이 들기도 한다. 그냥 좋은 사람들 모아 놓는다고 알아서 좋은 목표를 세우고 좋은 프로덕트를 만들어 내고 시장에서 성공할 수 있을까?

충돌하고 있는 가치는 이런 정도인 것 같다. 기술 면에서는 현재에서 마이너 업그레이드를 하고 고객의 니즈를 파고 들어서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창출할 것인가, 아니면 기술 자체가 새로운 고객을 만들어낼 만한 그런 것을 R&D로 생산해 내서 기술력에서 앞서 나갈 것인가. 나는 전자인데 팀에서는 전자가 비교적 소수인 것 같다. 그리고 그렇게 된 이유에는 구글이 있는 것 같다.

아직은 좀 혼란스럽다. 어느 쪽으로도 결론을 내릴 수 있는 상황이 아니지만 그렇다고 양쪽을 취할 수 있는 상황은 더더욱 아닌 것 같다.

문득 빌게이츠의 책 제목이 떠오른다. 생각의 속도. 이제 무슨 내용이었는지 잘 기억도 안 나는데 꼭 다시 읽어봐야 할 것 같다. 나온지 10년도 더 되는 것 같은데 이제야 이렇게 가슴을 파고 들다니. 그것도 단지 책 제목만으로. 주말에 부산 내려가면 꼭 가져와서 읽어봐야지.

아, 그리고 EnergizedWork가 되지 않는 또 하나의 이유. 충분한 휴식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회사 내에 맘 편히 쉴 공간이 없다는 것 때문에 예전보다 break를 적게 가지게 된다. 산책 한 번 하려면 엘리베이터를 타고 내려가야 하는 상황은 어딜 가나 어쩔 수 없는 것일까. 게다가 요즘 건물 주변에 풍기는 냄새-_-가 그 산책마저 괴롭게 만든다.


요즘 간간이 프로페셔날의 조건을 다시 읽고 있다. 역시 명저라는 생각이 든다. 예전에는 읽은 책 또 읽고 또 읽고를 참 많이 했었는데 요즘은 그러지 않다가 간만에 화장실 갈 때마다 들고 가는데 챕터 하나하나 마다 정말 읽을 거리가 넘쳐난다. 나도 저 나이 되면 저렇게 통찰력이 넘쳐 흐르는 사람이 될 수 있을까. 요 며칠 사이에 다시 되새기게 된 내용들을 적어본다.

  • 보수적인 혁신가. 기업가적 성향은 위험 추구 성향 따위가 아니다. 오히려 성공한 기업가는 하나 같이 위험을 최소화하려고 한다. 그럼에도 혁신을 하는 이유는 혁신하는 것이 혁신하지 않는 것보다 덜 위험하기 때문이다.
  • [신들이 보고 있다]
  • 의견의 불일치를 조장하라. 머, 이젠 설명이 필요 없는 이야기인 것 같다.


생각이 많은 밤이다. 이번엔 NegativeFeedback. 애자일 컨설팅에서 한 달 가량 일하면서 NegativeFeedback에 대한 Negative한 시각을 간접적으로 느꼈다. 부정적인 반응이 때때로 사기를 꺾고 원래의 목적조차 달성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은 것이 사실이다. 하지만 때때로 NegativeFeedback이 긍정적으로 작용하기도 하는 것 또한 사실이다. NegativeFeedback이 어떨 때 사기를 꺾고 어떨 때 개선의 자극제가 될까. 내 경험으로 미루어보면 내가 사기가 꺾였던, 혹은 불쾌감을 느꼈던 NegativeFeedback들은 공통적으로 명확하지 않은 비판이었다. 넌 이러이러한 점을 이렇게 잘못했고 이러면 좀더 잘할 수 있었다...가 아니라 너 그러면 안돼...식의 비판, 이런 종류의 비판에는 거부감을 심하게 느꼈고 공격적으로 반응하기도 했다. 하지만 반대로 나에게 자극제가 되거나, 내 행동을 개선할 수 있었던 경우들은 대체로 구체적으로 내 잘못을 지적하고 더 잘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거나 내 행동이 잘못인 이유를 논리적으로 잘 설명하는 경우였다. 나의 이런 경험이 어느 정도의 보편성을 가지고 있는 것일까. 심리학 전공자들에게 좀 물어봐야겠다.

Youngrok Pak , 13 years ago

일기장/2006-06-05

결국 블로그 이사했다. 모니위키를 버리고 모인모인으로. 모니위키가 나름대로 편리한 점도 많고 속도도 빠르지만 위키에 내 맘대로 기능을 추가하려면 아무래도 좀더 익숙한 파이썬이 나은 것 같다. AccessControl이 되는 것도 좋고. 속도는 좀 아쉽다. 모니위키가 10배는 빠른 듯.

Youngrok Pak , 13 years ago

일기장/2006-06-04

또 TEPS 쳤다. 근데 이번엔 완전 망친 것 같다. 지난 번보다 잠도 푹 잤고 아침에 화장실도 잘 가서 잘 될 줄 알았는데 오히려 이상하게 집중이 안되었다. 머리가 회전이 안된달까. 다 풀지도 못했다. 지난 번과 비교를 해본다면 700점도 안 나올 것 같고 600점도 위태하지 않을까 싶다-_- 왜 이럴까.

일단 그 동안 실력이 늘지 않은 건 확실한데 그렇다고 줄어 든 것 같지도 않다. 한 달 사이 갑자기 실력이 떨어질 리도 없고. 컨디션도 분명 지난 번보다 좋았으니 컨디션 문제도 아니다. 그렇다면 환경? 약간 덥고 감독관이 자주 주의를 분산시키긴 했지만 평소의 집중력이라면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을 정도였다. 그래, 집중력이 원인인 것 같다. 요즘 내내 이상하게 머리가 잘 안 돌아간다. 생각해보니 요즘 운동을 안해서 그런 게 아닐까 싶다. 머리가 맑지 않다.

듣기는 지난 번보다 조금 나아진 것 같다. 왜일까? 조금 더 단어들이 또렷하게 들렸다. 방송 상태가 약간 더 좋았던 것 같다. 실력이 는 건 분명 아니다-_- 아직 듣기는 갈 길이 멀다. 문법은 지난 번에 1+ 등급까지 갔던 파트인데 이번에는 엉망진창이다. 머리가 안 돌아가니 충분한 속도가 나질 않았다. 어휘는 지난 번에도 약점이었던 부분인데 이번에는 더 심한 것 같다. 모르는 단어가 우르르 쏟아져 나온다. 내 어휘력이 이렇게 부족한가. 좀더 폭넓은 읽기가 필요하다. 독해는 그럭저럭 괜찮았지만 역시 속도가 제대로 안 나왔다.

이렇게 보면 앞으로의 공부 방향은 명확하다. 영어 매체와의 접촉을 늘리는 것. 문법은 더 공부할 필요가 없다. 고등학교 때 R전 쌤에게 배운 이후로 문법은 별로 애먹은 기억이 없다. 어휘 부족은 읽기 양을 엄청 늘리면 해결이 되겠지만 단기적으로는 사전을 좀더 활용할 필요가 있을 것 같다.

그러고보면 지난 번 TEPS 성적을 충분히 분석해보지 않았던 것 같다.

Youngrok Pak , 13 years ago


Comments




Wiki at WikiNamu